CS 64

[SHELL]oh-my-zsh의 agnoster 테마 프롬프트 변경하기

목차 ```~/.oh-my-zsh/themes/agnoster.zsh-theme`` 파일 열기(vim) prompt_dir(), prompt_context() 변경하기. 전체 경로를 현재 위치만으로 설정하기 ~/Documents/testFile -> testFile 기존에 있는 텍스트 파일을 # Dir: current working directory prompt_dir() { prompt_segment blue black '%~' }아래와 같이 수정. prompt_dir() { prompt_segment blue $CURRENT_FG '%c' }그럼 현재 위치한 경로만 볼 수 있습니다. 만일 현재 경로가 궁금하시면 pwd 커맨드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UserName 부분..

CS 2021.10.25

[CS]CRLF에 대해 알아보기

Before CRLF를 알기에 앞서 ASCII code에 대해서 기본적인 지식을 조금 알고 넘어가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new line 입력 시 사용되는 asciII code. ASCII code ASCII 코드의 경우 2의 7승인 128문자로 이루어져 있으며(8비트이나 맨앞의 1비트를 제외한 7비트를 사용합니다.) Printable Characters, Control Characters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Control Characters 0~31과 가장 마지막 127을 포함한 총 32개를 뜻합니다. 시스템을 제어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EndOfText, Delete, CarriageReturn, LineFeed 등 ** 참고 ** ​ java 혹은 javascript에서 keyEvent(dow..

CS 2021.09.30

[SSH]authorized_keys가 존재하는데도 비밀번호를 물어볼 경우

authorized_keys가 존재하는데도 비밀번호를 물어볼 경우 .ssh파일 생성, scp로 rsa_id.pub -> authorized_keys로 복사 /home/eisen/.ssh/authorized_keys에 파일이 존재하는데도 비밀번호 입력을 하라고 요구할 시 해결 방법입니다. ssh -v eisen@localhost 로 로그를 확인 했을 시 ❯ ssh -v jmocha@172.30.130.176 OpenSSH_8.5p1, OpenSSL 1.1.1k 25 Mar 2021 debug1: Reading configuration data /c/Users/Eisen/.ssh/config debug1: Reading configuration data /etc/ssh/ssh_config debug1: Co..

CS 2021.09.10

컴퓨터 시작(부팅) 시 출석 체크 자동으로 실행하기

컴퓨터 시작(부팅) 시 출석 체크 자동으로 실행하기 key_macro 프로그램 사용 key_macro 다운 및 설치 다운로드 링크 https://blog.daum.net/pg365/2501 설치 실행 파일 옮기기 C:\Users\Eisen\AppData\Roaming\Microsoft\Windows\Start Menu\Programs\Startup 혹은 windows키 + R 로 '실행'창을 키고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hell:startup 키 설정하기 기록 기록 -> 기록 대기 중 클릭 시 클릭 이후의 모든 동작이 저장됩니다. ok 버튼 이후 저장을 클릭하여 저장시킵니다. 추가 직접 메크로 단계를 하나씩 입력이 가능합니다. ok 버튼 이후 저장버튼을 클릭하여 저장시킵니다. 매크로..

CS 2021.09.06

Hyper-v(내부) 고정 ip 할당

:Hyper-v 고정 ip ip 변동 잘 사용하다 한번씩 ip가 변동되어서 config(alias)에 설정한 ip들을 계속 바꿔 주어야 하더군요. 몇번 변경하다 귀찮아서 이번에 검색을 한번 해 보았습니다. 가상 스위치 설정 변경 현재 컴퓨터에 연결된 랜선, 와이파이 등을 공유 설정으로 생성한 스위치가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 저는 스위치의 이름을 CentOS라고 지었습니다. 생성한 switch 설정하기. 보통 연결하면 192.168.137.1로 설정이 잡히는 듯 하더군요. OS 설정 변경 유선 설정 변경 centos에 접속해 설정을 바꿔 줍니다.(우측 상단의 유선 네트워크 설정) 그 후 설정 버튼을 클릭한 후 IPv4를 아래 이미지와 같이 변경해줍니다. 아래 코드를 통해 잘 연결 되어있는지 확인합니다. ..

CS 2021.09.06

[HTTP]telnet을 이용하여 HTTP/1.0과 1.1 차이 알아보기(Linux)

HTTP_3_telnet telnet을 이용하여 HTTP/1.0과 1.1 차이 알아보기(Centos) $ telnet google로 한번 요청을 보내 봅니다. [jmocha@localhost.localdomain ~]# telnet google.com 80 telnet google.com 80 Trying 172.217.175.46... Connected to google.com. Escape character is '^]'. google.com 은 도메인명(DNS)입니다. 80 은 포트 번호입니다. 구글의 ip는 172.217.175.46 입니다. Escape character is '^]'. ctrl + ]를 입력하면 telnet의 prompt가 뜹니다. Escape ch..

CS 2021.08.25

JPA란?

JPA Words ORM Mybatis Hibernate JPA EJB Hibernate Spring Framework ORM(Object-relational mapping) 객체 관계 매핑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매핑(연결)해 주는 것. ORM을 통해 객체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SQL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불일치를 해결. 객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를 다루는 것. JPA(Java Persistence API) EJB Entity Java Bean. (과거 자바 표준 ORM) 코드가 깔끔하지 못하다. 구현이 어렵고 실행속도가 매우 느리다. 위의 이유로 더이상 사용하지 않습니다. Hibernate Open Source Gavin King이 EJB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 ..

CS 2021.08.24

[HTTP] HTTP 1.1와 HTTP 2 그리고 QUIC(HTTP3)

HTTP 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은 웹에서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apache, nginx ...)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토콜 중 하나입니다. 현재 HTTP는 신뢰할 수 있는 연결 기반인 TCP 표준에 의존합니다. 구글의 경우 자체적으로 개발한 QUIC(HTTP3)을 사용하며 UDP를 기반으로 합니다. HTTP 1.1이란? 출시 이후 지금까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연결(Connection) 하나 당 하나의 요청을 처리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요청과 응답이 순차적으로 처리) 이런 설계 방식으로 다수의 리소스(image, css, script)를 처리하기 위해선 요청할 리소스 개수에 비례해서 Latency가 길어지게 됩니다.(동시..

CS 2021.08.20

[Linux](Server) ssh 비밀번호 없이 접속하기

id_rsa, id_rsa.pub 생성하기 클라이언트(local)에서 ssh-keygen 명령으로 id_rsa, id_rsa.pub을 생성합니다. $ ssh-keygen -t rsa 위의 명령으로 ssh 공개키와 개인키를 생성합니다. key를 생성하면, 홈 디렉토리내의 .ssh 디렉토리에 id_rsa, id_rsa.pub 두개의 파일이 생성된다. 💡 위의 명령어 입력 전에도 ssh username@localhost 로 접속을 하면 자동으로 id_rsa, id_rsa.pub 파일이 생성 됩니다만! ssh-keygen -t rsa 명령어를 한번 더 실행하시길 강력 추천드립니다.(필자는 여기서 삽질을 했습니다.) 실행 코드 $ ssh-keygen -t rsa Generating public/private rs..

CS 2021.08.13

[HTTPS]SSL/TLS 간략 정리.

개념💡인터넷에서의 정보를 암호화해서 송수신하는 프로토콜.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스사가 개발한 SSL(Secure Sockets Layer)에 기반한 기술로,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에서 표준으로 인정받은 프로토콜이다. 표준에 명시된 정식 명칭은 TLS지만 아직도 SSL이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작동방법💡인터넷을 사용한 통신에서 보안을 확보하려면 두 통신 당사자가 서로가 신뢰할 수 있는 자임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서로간의 통신 내용이 제 3자에 의해 도청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따라서 서로 자신을 신뢰할 수 있음을 알리기 위해 전자 서명이 포함된 인증서를 사용하며, 도청을 방지하기 위해 통신 내용을 암호화한다. 이러한 통신 규약을 묶어 정리한 것이 바로 TLS. 주요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자물..

CS 2021.08.0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