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운로드하기
https://www.centos.org/download/
CentOS 8
![](https://blog.kakaocdn.net/dn/VABGu/btrbuJBrPzC/10KskQPtwKtMu7UIjbkgC0/img.png)
8 버전을 설치해 보겠습니다.
ISO 하단의 x86_64를 선택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sFGYB/btrbtytpTqi/gYX2ef9F2hQKzMjd1WaPn0/img.png)
kakao를 한번 들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YmJTn/btrbLd8iYvv/KagdVprMxD2GPlLVBuusaK/img.png)
boot.iso를 다운받습니다. 750메가 정도 되네요.
CentOS7
![](https://blog.kakaocdn.net/dn/QvGsY/btrbyHKogwe/zNZOi0iQXQbbspa2mBKqV1/img.png)
동일하기 x86_64를 선택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FKnTF/btrbIcvBTnd/pp2YlfSsrIYbZKKpXV0U31/img.png)
그 후 Everything 을 선택하여 설치하면 됩니다.
VirtualBox 설치하기
다운받기
![](https://blog.kakaocdn.net/dn/bLU812/btrbyH4Hvau/Sakc202CLZwpdaNCeHeGP0/img.png)
타 버전을 받으시고 싶으시다면 위의 VirtuaklBox 6.0과 5.2 버전을 받으시면 됩니다.
**2020년을 기준으로 더이상 지원하지 않습니다.
Windows hosts를 클릭하면 다운받게 됩니다.
설치 후 실행하기
![](https://blog.kakaocdn.net/dn/ltydz/btrbJbplzvX/VXW2tt1kpOz55kjtIn9SO1/img.png)
새로 만들기 → 클릭한 후 CentOS8
![](https://blog.kakaocdn.net/dn/YzWqC/btrbuI3BLo6/EBActszc6jxTXW8BR30pf1/img.png)
할당할 메모리를 지정해 주면 됩니다. 저는 5120MB 를 할당해 보겠습니다.
가상 하드 디스크 만들고 하드 디스크 파일 종류를 VDI(VirtualBox Disk Image)를 선택합니다.
원하시는 디스크 크기를 설정하고 완료 누르시면 생성 됩니다. (저는 200gb를 할당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nmelq/btrbAHiAoHW/jkFZeNnczfHVda9j9GiExK/img.png)
아래 체크된 곳을 클릭한 후 본인이 다운받은 centOS .iso 파일을 선택해 줍니다.
이후부턴 CentOS7을 대상으로 설치하고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pIyEj/btrbEgEXelO/kED3JJ5pmeXuvtdwpRXnK0/img.png)
실행하면 install을 합니다! 이때 키보드를 이용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 마우스 잡기?? 기능을 활성화 하니 이 창에서 빠져나가질 못하네요. 추후에 추가적으로 마우스 관련 사항을 추가해 드리겠습니다.
아래 이미지와 같이 따로 키를 설정해도 되고 기본으로 오른쪽 control 키를 누르면 윈도우 화면과 VM 을 오고갈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iW0Sp/btrbtyfSj75/eYjSk9BNIYpPEvYHFRcaLK/img.png)
소프트웨어 설정
![](https://blog.kakaocdn.net/dn/dsgSGJ/btrbtzsik69/Uw0cikE9GodtfhZmo2FfXk/img.png)
설치대상도 선택하고
![](https://blog.kakaocdn.net/dn/eqwpG0/btrbIH281gD/Xugwk0DkDeckl76NzvALc0/img.png)
네트워크 설정
![](https://blog.kakaocdn.net/dn/J5hbD/btrbENbYASm/kVPMVIKF0cLMYm0FJmTQD0/img.png)
그 후 설치 시작을 눌러 설치를 진행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9J4pq/btrbHbwyIgS/FDBm92y0btuROhezDT6vm1/img.png)
설치가 완료되면 root 암호를 설정하고 사용자 생성을 완료하면 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재부팅 후 licensing을 클릭해 동의하기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XzeUJ/btrbEgkF1R7/ICLjDzjWeFtRfA8dkEIUWk/img.png)
로그인 언어설정 등을 지나서
배경화면이 나오면 터미널을 켭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a9QL9/btrbJbCSCrn/vbXQF4fuAMhlKWFwPC5hn0/img.png)
아래 명령어 yum update로 yum을 업데이드 한 후
$ yum update
서버를 reboot 시켜 줍니다.
$ reboot
마우스 자연그럽게 왔다갔다 시키기.
![](https://blog.kakaocdn.net/dn/k1jeR/btrbGBI618Q/K2gWhRtAwzg7AbJERCNjW1/img.png)
설치하면 이제 마우스가 window와 server 사이를 자유롭게 왔다갔다 할 수 있습니다.
Uploaded by Notion2Tistory v1.1.0